EDITION: Who Sets the NUMBER? | 2024. 9. 21 ~ 10. 19
EDITION: Who Sets the NUMBER?
|
|
|
구본창 변상환 유근택 이희준 정은영 조성연 최수앙 추미림
Koo Bohnchang · Byun Sanghwan · Yoo Geun-Taek · Heejoon Lee siren eun young jung · Seongyeon Jo · Xooang Choi · CHU Mirim
SPACE SO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242, 5F
·
2024. 09. 21 - 10. 19
11:00 ~ 19:00
Tuesday - Saturday
|
|
|
스페이스 소에서 진행중인 기획전 «EDITION: Who Sets the NUMBER?»가 10월 19일 까지 이어집니다.
"이번 전시에는 ‘숫자’를 가지는 사진, 조각, 판화, 영상 등의 에디션 작업을 진행해 오고 있는 작가들과 에디션을 가지지 않는 회화와 조각, 설치의 작업들을 하고 있는 작가들이 각자의 작업 안에서 에디션의 개념과 그 숫자에 대해서 풀어낸 작품들을 소개한다. 또한 본 전시의 변상환 작가와 함께 시도해 보는 ‘Who Sets the NUMBER?’를 통해 통상적으로 가지는 에디션에 대한 의미를 컬렉팅의 과정에서 생각해 보는 기회를 만드는 것 까지를 이번 전시의 기획 의도로 삼는다."
에디션이라는 개념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한 이번 전시에 마지막까지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연출사진(making photo)’이라는 새로운 형식으로 한국 미술계에 의미 있는 파장을 일으킨 구본창 작가는 대표작인 ‹탈 Mask› 시리즈 중에서도 암실에서 직접 인화하는 아날로그 작업 방식으로 희소성을 가지는 ‹강릉관노 폴라로이드› 작품을 소개합니다.
조성연 작가는 대표적인 에디션 장르인 사진에 손으로 자수를 놓아 유니크 피스(unique piece)를 만들어 내는 변주를 취합니다. 그동안 작가의 정물 사진에 자주 등장했었던 실들이 화면 밖으로 나와 자유로운 궤적을 만들어 냅니다.
|
|
|
구본창_탈 강릉관노 01
2002
archival pigment print, 25 x 20cm |
|
|
조성연_지극히 주관적인 ( )
2024
pigment print, stitches, 25 x 19.5cm |
|
|
유근택 작가는 최근 성북구립미술관에서의 개인전 <유근택: 오직 한 사람>에서 집중적으로 조명된 목판화 작업을 소개합니다. <자화상>의 얼굴은 작가의 손길에 깎이고 파여, 얼굴을 잃고 또 다른 얼굴을 품기도, 풍경을 담은 창이 되기도, 나무가 되기도 하고 물감과 함께 섞여 분수가 되기도 합니다.
캔버스 위 포토-콜라주(photo-collage)와, 두껍게 올려진 물감 층으로 이루어진 회화로 특징되는 이희준 작가는 삶을 둘러싼 풍경 곳곳에 녹아든 디자인적 미감에 관심을 가집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존의 포토-콜라주 회화 ‹The Chambers of Time›을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쳐 조각으로 구현한 ‹Mining The Chambers of Time›을 소개합니다.
|
|
|
유근택_나무
2005
woodcut, 25 x 18cm |
|
|
이희준_Mining The Chambers of Time,
2024
string, wood, acrylic and photo collage on Fomex, 200 x 16 x 16cm |
|
|
추미림 작가는 에디션 작품으로부터 유니크한 작품을 도출해 내는 독특한 과정을 보여줍니다. 작가는 현재 작업실로 입주해 있는 난지창작스튜디오 주변과 지난 여름 방문했던 지역의 풍경을 배경으로 삼은 영상작품 <Memory>의 수많은 프레임 중 단 3장만을 선정하여 콜라주-드로잉 작품으로 재탄생시켰습니다.
변상환 작가의 에디션은 컬렉터의 선택에 따라 그 운명이 좌우됩니다. 인류학자와도 같은 시선으로 도시를 발굴하는 시선의 단초를 보여주는 ‹낙산돌› 연작 중 하나인 ‹지봉로7길 25-6›은 전시 시작과 동시에 오픈 에디션으로 작용하며, 전시가 종료되는 시점의 컬렉팅 횟수가 최종 에디션으로 결정됩니다.
|
|
|
추미림_Memory.003
2024
inkjet print, acrylic, paper collage on paper, 40 x 30cm |
|
|
변상환_지봉로7길 25-6
2016
archival pigment print, 80 x 120cm |
|
|
최수앙 작가는 저마다의 예민함을 가진 물질들을 마치 연금술사처럼 섬세하게 다루어 냅니다. 손으로 빚어진 조각도 에디션 작품이 될 수 있을까요? 작가는 작품에 들인 기술과 시간, 방식, 재료 등을 에디션의 틀로 해석한 조각 작품인 ‹ED1CW4T12MW13H4B›와 ‹ED2CW4T12MW13H5B›를 선보입니다.
정은영 작가의 작품, ‹분장의 시간›과 ‹Dust›는 작가의 ‹여성국극 프로젝트›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줍니다. 여성국극 남역배우들의 젠더 표현들을 좇으며, 두 개의 성별로 나뉘는 전통적인 성별 체계에 도전한 장기간의 리서치 프로젝트는 국내외 유수의 기관, 전시, 프로젝트를 통해 소개되었는데요, 이 중 대표작 두 점을 컬렉터들에게 소개합니다. |
|
|
정은영_Dust
2023
single-channel video, 4K, color, stereo sound, 14:46 |
|
|
최수앙_ED2CW4T12MW13H5B
2024
copper, acryl, 16.5 x 25 x 25cm |
|
|
변상환
2024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스틸, 지금도 움직이는'
2024. 10. 19 ~ 10. 27
포항 영일대 해수욕장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해안로 95
Byun Sanghwan
[Group Exhibition]
Pohang Steel Art Festival
'Steel’s still moving now'
October 19 ~ 27, 2024
Pohang Yeongildae Beach
95, Haean-ro, Buk-gu, Pohang-si
|
|
|
금민정
공간서사
2024. 10. 17 ~ 11. 22
주폴란드한국문화원
Leona Kruczkowskiego 8, 00-380, 바르샤바, 폴란드
Guem MinJeong
[Group Exhibition]
Space Narrative
October 17 ~ November 22, 2024
Korean Culture Center in Warsaw
Leona Kruczkowskiego 8, 00-380 Warsaw, Poland
|
|
|
금민정
흐르는 데이터, 감지된 자연
2024. 9. 20 ~ 12. 6
플랫폼에이
서울시 서초구 서래로5길 37-13
Guem MinJeong
[Solo Exhibition]
Flouting Data Sensed Nature
September 20 ~ December 6, 2024
Platform A
37-13, Seorae-ro 5-gil, Seocho-gu, Seoul
|
|
|
한성필
Light in Cheongju
청주고속터미널 신축 현장 랩핑프로젝트
2021. 12 -
청주고속터미널 복합개발 신축공사현장
청주, 충청북도
Han Sungpil
Light in Cheongju
Cheongju Express Terminal Construction Site Wrapping Project
December 2021 -
Cheongju Express Terminal Complex Development Construction Site
Cheongju, Chungcheongbuk-do
|
|
|
Content © SPACE SO. All rights reserved.
SPACE SO
T. +82 2 322 0064 | F. +82 2 322 6363
|
|
|
|